사주명리학은 인간의 삶을 이해하고 예측하기 위한 동양의 전통적인 지혜입니다. 그중에서도 특히 "대운(大運)"이라는 개념은 인생의 흐름을 크게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그리고 이 대운이 언제부터 시작되는지를 알려주는 기준이 바로 "대운수(大運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운수가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 그리고 어떻게 계산하는지를 절기 개념과 예시를 바탕으로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사주 명리학을 처음 접하는 분들도 쉽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풀어드릴게요!
1. 대운수란 무엇인가요?
먼저 ‘대운’이라는 용어부터 살펴보면, 이는 사주명리학에서 10년 단위로 인생의 큰 흐름이나 기운이 변하는 시기를 의미합니다. 우리가 흔히 겪는 인생의 굴곡이나 전환점이 이 대운의 변화 시기와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고 보는 것이죠.
그렇다면 대운수는?
대운수란 ‘첫 대운이 시작되는 나이’를 말하며, 이후 10년 단위로 대운이 전환되는 기준점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의 대운수가 7이라면, 이 사람은 7세에 첫 대운이 시작되고, 이후 17세, 27세, 37세와 같이 10년마다 대운이 변화합니다. 즉, 인생의 큰 운의 흐름이 정해진 시기에 따라 바뀌는 것이죠.
2. 대운수를 왜 계산해야 하나요?
사주를 볼 때 가장 많이 받는 질문 중 하나가 바로 “저는 언제부터 운이 좋아질까요?”입니다.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대운이 언제 바뀌는지, 그리고 그 대운의 기운이 나와 잘 맞는지를 먼저 알아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가장 첫 번째로 필요한 것이 바로 대운수 계산입니다.
3. 대운수 계산을 위한 기본 개념
대운수를 계산하려면 몇 가지 기본 개념을 알아야 합니다. 이 부분은 조금 생소할 수 있지만, 차근차근 따라오시면 어렵지 않습니다!
1) 절기 기준으로 월이 바뀐다
일반적인 달력에서는 양력 1일 또는 음력 1일을 기준으로 월이 바뀌지만, 사주명리학에서는 "절기(節氣)"를 기준으로 월이 바뀝니다.
사주에서 사용하는 절기는 다음과 같이 총 12개입니다:
입춘ㆍ경칩ㆍ청명ㆍ입하ㆍ망종ㆍ소서ㆍ입추ㆍ백로ㆍ한로ㆍ입동ㆍ대설ㆍ소한
- 예를 들어, 입추는 8월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로, 보통 양력 8월 7일 즈음에 시작합니다.
- 이 절기의 시작일과 종료일 사이가 한 달로 간주됩니다.
따라서, 생일이 언제냐보다도 절기상 어떤 달에 태어났느냐가 사주에서는 중요합니다.
2) 순행과 역행을 구분해야 한다
대운수 계산에서 가장 핵심적인 구분은 대운이 순행인지 역행인지입니다.
성별 연주가 양간(갑, 병, 무, 경, 임) 연주가 음간(을, 정, 기, 신, 계)
성별 | 양간 | 음간 |
남자 | 순행 | 역행 |
여자 | 역행 | 순행 |
이때 연주는 사주의 연간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대운의 방향을 판단합니다.
- 순행: 생일부터 절기 마지막 날까지의 날 수 계산
- 역행: 절기 첫날부터 생일까지의 날 수 계산
4. 대운수 계산 공식
대운수는 순행과 역행의 계산법에 의해서 날짜 수를 세어 3으로 나눈 몫으로 계산됩니다.
■ 계산 공식
(해당 날짜 수 ÷ 3) = 대운수
즉, 생일부터 절기의 끝날까지 (혹은 절기 첫날부터 생일까지) 며칠인지 세고,
그 날짜 수를 3으로 나눈 뒤 몫을 취하면 됩니다.
■ 예시로 이해하는 대운수 계산
생일: 2021년 8월 16일
절기: 입추 (8월 7일 ~ 9월 6일)
성별: 남자
연주: 음간 (예: 계) → 역행
- 입추 절기 시작일: 8월 7일
- 생일: 8월 16일
역행이므로 "절기 시작일(8/7)부터 생일(8/16)"까지의 날짜를 셉니다.
- 총 9일
9 ÷ 3 = 3
따라서 대운수는 3이다.
즉, 이 사람은 3세에 첫 대운이 시작되고, 이후 13세, 23세, 33세... 와 같은 흐름으로 대운이 바뀝니다.
5. 대운 계산이 어려울 땐?
대운수 계산은 익숙해지면 간단하지만, 절기 날짜나 연간 판단이 헷갈릴 수 있습니다.
이럴 땐 다음과 같은 만세력 사이트나 앱을 활용해 보세요.
■ 대운수 계산 추천 도구
- 포스텔러만세력
포스텔러만세력으로 예시를 만들어보면, 남자사주에 음간이면 대운은 역행합니다. "갑을병정"순서로 가는 것이 아니라 "정병을갑"순으로 대운이 바뀌는 겁니다.
- 사주플러스만세력
- 운세의 신
이런 툴을 통해 자신의 사주를 입력하면, 대운의 시작 시점과 구성, 순행/역행 여부, 10년 단위 대운표까지 모두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서 대운수계산법에 의한 결괏값과 비교해 보면서 대운수 계산법을 익혀보시기 바랍니다.
6. 마무리하며
대운수는 단순한 숫자 이상으로, 인생의 전환점을 파악할 수 있는 나이를 의미합니다.
이 기준이 있어야만, 각 대운의 성격과 흐름을 분석하고 자신에게 다가올 운의 흐름을 예측할 수 있죠.
사주명리학이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이렇게 하나씩 원리를 이해하다 보면 인생을 조금 더 넓은 시야로 바라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