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서치콘솔
본문 바로가기
사주명리학/십이지지

십이지지 사주 오화의 특징

by 지식버튼 2022. 8. 28.
반응형

 

십이지지 오화의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오화는 거침없이 뛰어다니는 말이고, 쇠를 녹이는 불이기도 한다. 오늘은 십이지지의 일곱 번째인 오화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고, 음양오행과 절기, 시간, 물상의 특징, 지장간을 알아봅니다.

 

 

십이지지 오화[午火]의 특징

 

십이지지 중 일곱 번째 지지인 오화[午火]를 요약해보면 아래와 같다.

 

오화[午火]
음양: 음
오행: 화
계절: 여름
절기: 6월 5,6일(망종) ~ 7월 7,8일(소서)
시간: 11:30 ~ 13:30
동물: 말
지장간: 병화 10일, 기토 9일, 정화 11일

 

반응형

 

 

지장간

 

오화의 지장간은 정화를 중심으로 병화와 기토로 구성되어 있다. 지장간을 구성하는 성분이 대동소이하지만, 그중 정화가 비중이 조금 높아 주된 성분이기 때문에 오화는 정화의 특성을 일부 공유한다. 오화는 해가 중천에 떠있는 모습이며, 절기로는 하지가 오화에 해당한다.

 

사주 일간 정화의 특징

 

사주 일간 정화의 특징

사주 일간 정화(丁火)의 특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사주팔자의 천간에서 정은 화의 오행으로 분류되는데, 이를 '정화(丁火)'라 표현합니다. 사주에서 정화(丁火)가 일간에 위치할 때 정화

icedlatte.tistory.com

오화는 양이 극에 달해 있을 때 한줄기 음이 시작되게 되는데, 지장간 중에서 습기를 머금고 있는 기토가 뜨거운 날의 소나기와 같이 더위를 식혀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기토가 양이 극에 달해 있을 때 음으로는 첫발을 떼게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활동력

 

오화를 상징하는 동물은 말이다. 말은 역동적이며, 활동력을 상징하기도 한다. 때문에 오화는 역동적이고 활동하는 힘이 있어서 역마살과 같은 기운을 가지고 있다. 대인관계에 거침이 없어서 처음 보는 사람과도 잘 어울리며, 여행을 즐기고 새로운 곳을 두려워하지 않는 기질을 가지고 있다.

 

오화는 폭발력이 있는 불이다. 성질 또한 폭발적이고 다혈질이 많다. 

 

 

짧은 시간 막강화력

 

오화의 상징인 말은 앞만 보고 달리는 말이며 막강한 열기를 뿜어내는 불과 같다. 앞만 보고 달리는 추진력과 막강한 화력은 엄청난 성과를 가져올 수 있지만, 불이 약할 때는 한없이 초라해지기도 한다. 오화는 이와 같이 극단적인 경향을 나타내는데, 불이 꺼지지 않도록 잘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사주-오화-말
달리는 말은 사주 오화의 동물이다.

또한 오화는 넘치는 양의 기운에서 음의 기운이 하나 일어나기 시작하는 형상이라, 미친 듯이 앞만 보고 달리다가 아주 작은 음적인 매혹에 쉽게 정신을 빼앗기는 것이 특징이다. 오화는 음적이 유연함과 부드러움에 쉽게 눈이 돌아가는 의외성을 나타낸다.

 

 

야생마

 

오화는 말 중에서 야생마에 해당한다. 야생에서 마음껏 뛰어다니는 야생마이기 때문에 한정된 공간과 조직적으로 짜인 공간에서는 견디기 힘들어한다. 독립적인 성향이 강하여 항상 자유롭게 다니는 것을 좋아한다. 또한 오화는 도화살을 의미하는 글자이며, 다른 한편으로 비판, 반대, 혁명을 나타내는 글자이기도 하다.

 

 

그 외

 

자오묘유는 왕지에 해당하는 글자로 도화와 관련된 글자이다. 자오묘유중에서도 오화는 가장 주목받기를 원하는 지지인데, 한낮에 뜬 태양으로 모든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인자가 내포되어 있다. 본인을 돋보이게 하기 위해서 잘 꾸미고 화려한 것을 좋아한다.

 

도화적인 성향 덕분에 인기가 많기도 하지만, 본인이 이성을 따르기도 한다. 또한 오화는 정오를 뜻하고 분출하고 떠벌리는 것을 좋아한다. 스스로 숨길수 없는 성향이다. 감수성 또한 풍부하여 미적인 감각이 발달한 사람이다. 예술적인 성향을 추구하는 사람이 많다.

 

오화는 정화의 특성을 공유하며, 정화는 어둠을 몰아내는 따스하고 소중한 불이며, 오화와 어울리는 직업으로는 세상을 밝히는 교육, 언론계 통이 좋으며, 도화의 기운으로 인해서 인기를 먹고사는 직업에 적합하다.

 

 

반응형

댓글


애드디스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