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서치콘솔
본문 바로가기
사주명리학/천간

사주 일간 정화의 특징

by 지식버튼 2022. 7. 10.
반응형

사주 일간 정화(丁火)의 특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사주팔자의 천간에서 정은 화의 오행으로 분류되는데, 이를 '정화(丁火)'라 표현합니다. 사주에서 정화(丁火)가 일간에 위치할 때 정화(丁火)는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알려 드리려 합니다.

 

 

사주 일간 정화의 특징

사주 일간에서의 정화(丁火)란 무엇이고, 특징은 어떤 것이 있는지 한 번에 정리해보겠습니다.

 

손위의-촛불
손위에서 밝고 따뜻한 온기를 전하는 촛불이 정화의 모습이다.

 

 

1. 정화(丁火)란?

천간과 지지는 서로 결합하여 일주를 구성하게 되는데, 천간은 10가지, 지지는 12가지로 구분되는데, 정화(丁火)를 지지와 결합하면 정묘(丁卯), 정사(丁巳), 정미(丁未), 정유(丁酉), 정해(丁亥), 정축(丁丑)의 여섯 개의 일주로 만들어진다. 정화는 여름이 한창인 늦여름을 상징하고 음(-)의 기운을 가지고 있다.

 

천간의 네 번째인 정화(丁火)는 촛불, 달빛, 조명과 같은 기운을 가진 사주이며, 병화는 자연의 빛이라면 정화는 인위적인 불이라고 보면 된다. 정화의 열기는 병화처럼 대상을 가리지 않고 전하지 않고, 가까운 사람에게만 전달된다. 또한 본인의 몸을 태우는 헌신과 봉사의 모습이 있다.

 

반응형

 

 

2. 정화(丁火)의 특징


1. 명랑하고 온화해서 기분 좋게 만든다.


정화는 병화에 빛의 세기는 약하지만 따뜻하고 밝은 느낌을 가졌다. 촛불의 불빛과 같이 성격이 온화하고 부드러운 분위기를 가졌으며, 사람을 대하는 태도도 이와 같이 다정다감하다. 어둠 속에서 따뜻한 빛을 전파하기 때문에 밝은 분위기의 사람이 많고, 다른 사람도 기분 좋게 만드는 따뜻하고 밝은 기운의 사람이다.

 


2. 격식을 잘 갖추고, 배려심이 깊다.

정화는 예를 갖추기를 좋아하며, 격식을 갖추려고 하는 본성이 있고, 예와 격식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 이 때문에 주변에서 좋아하는 사람이 많이 있으나, 때론 주변 사람에게도 예를 갖추기를 강요하면서 트러블이 발생하기도 한다. 정화는 상대가 마음에 들지 않더라도 일단 격식을 갖추고자 하는 마음을 갖추고 있으며, 자기를 겸허하게 낮추는 자세를 가지고 있다.

 


3. 밖으로는 유하고, 안으로는 강하다.

정화는 밖으로는 격식을 갖추면서 상대에게 유한 모습을 보이지만, 안으로는 활활 타오르는 뜨거운 불(다혈질)을 가지고 있다. 이런 뜨거운 불은 삶을 이끌어가는 원동력이자 상대가 마음대로 되지 않으면 화병으로 발전하는 양면을 가지고 있다. 격식을 갖추고 배려하느라 안으로 참고 있는 불이 터지기 시작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부분이 있으니, 조심해야 하겠다. 

 

자기중심적인 성격이고 의지가 강하여 표면적으로 보이는 유한 모습보다는 강한 끼와 욕망이 있는 정화이기 때문에 예측 불가능한 다혈질적인 면만 잘 조절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4. 강한 집념의 소유자

정화는 강한 빛을 가진 행동력이 뛰어난 병화와는 다르게 생각이 많아 행동을 먼저 하지 않고, 모든 사람이 바라보는 태양과 다른 모습을 가졌기 때문에 튀려고 하는 마음이 많지 않다.

 

정화는 인위적인 불이기 때문에 불을 피우기 위해서 나무에 홈을 파서 비비고 또 비비는 집념과 집중하는 강인한 정신력이 필요해서 섬세하면서도 자존심도 강한 타입이다.

 

정화는 생각이 많고 집중력이 좋아 분석하고 교육하는 일에 잘 어울린다. 연구, 개발, 창작, 문학에 연관성이 좋다. 또한 촛불은 신을 향해 두 손 모아 빌 때 항상 앞에 있었으며, 이는 하늘의 신과 땅의 사람을 연결하는 매개체로 종교, 무속, 철학, 역학과 관련이 있다.

 

 

5. 정화의 또 다른 특징

 

정화는 불빛이 아무리 강해도 병화의 것과는 차이가 있기 마련이다. 이 때문에 병화를 만나면 본인이 앞으로 치고 나가는 것보다 강한 불빛을 보좌하고 대리하는 이인자로 물러날 수도 있다.

 

현실세계에서 뜻대로 일이 되지 않으면 속세를 등지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 때문에 정화의 사고는 염세적이고 비관적으로 흐르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촛불은 본인을 태워 세상을 밝게 하고 따뜻한 기운을 전달하면서 희생하지만, 정작 사람들은 촛불에게는 관심이 적어 정화의 희생을 몰라주기 때문에 외로움을 많이 느끼게 된다.

 

사주에 정화가 연달아 있는 정정 병존의 경우는 인덕이 부족해서 상대적으로 주변의 도움을 받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한다.

 

정임합은 천간 중에 가장 세다고 할 수 있는데, 정화가 임수를 만나서 물불을 가리지 않고 사랑하면 갑목을 탄생시키는 것이다.

 

 

천간의 의미는?

 

천간의 의미는?

천간의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사주를 보기 위해서는 가장 기본이 되는 베이스를 알아야 합니다. 오늘은 천간의 의미를 알아보고 천간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정리해보는 시간을 갖

icedlatte.tistory.com

 

반응형

댓글


애드디스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