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2016 시작하기 알려드리겠습니다. 엑셀을 시작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우선 엑셀을 처음 시작하는 것이라면 엑셀 실행파일로 시작을 하고, 문서를 작성해서 저장했다면 기존 문서를 찾아서 시작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엑셀 2016 시작하는 방법 시작합니다.

엑셀 2016 시작하기
엑셀 2016을 설치 후 최초로 엑셀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엑셀 응용프로그램을 찾아야 합니다. 아래의 이미지는 [윈도 10]이 설치된 컴퓨터에서 [엑셀 2016]을 시작하는 방법입니다.

① 엑셀 2016 시작하기
→윈도 좌측 하단의 시작 버튼을 누르고, 엑셀 2016을 찾아서 눌러주면 아래의 엑셀 최초 화면이 실행됩니다.
기존 문서로 시작하는 방법

① 새 통합 문서
→ 엑셀을 처음 설치했다면 새 통합 문서를 눌러서 시작해야 합니다. 새 통합 문서는 백지상태의 빈 화면을 실행시켜줍니다.
② 최근 항목
→ 최근에 작업한 순서대로 엑셀 문서목록이 있습니다. 엑셀을 실행하면 좌측 편에 위치한 목록에서 원하는 통합 문서를 골라서 실행해줍니다.
③ 다른 통합 문서 열기
→ 기존에 엑셀 통합 문서를 작성해서 저장했던 파일을 내 컴퓨터나 온라인(OneDrive) 등에서 찾아서 실행해줍니다.

→ 다른 통합 문서를 열고 들어가면 열기 창이 뜨는데, 이곳에서도 최근에 사용한 항목, OneDrive - 개인, 이 PC, 위치 추가, 찾아보기 등의 방법으로 기존 문서를 열 수 있습니다. 하나씩 눌러보면서 적응해보시면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찾아보기 바랍니다.
④ 서식 통합 문서
→ 자주 사용하는 엑셀 문서의 서식 파일을 저장했다가 열어서 빠르게 문서작업을 할 때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서식 파일을 저장하는 방법은 추후에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 위의 예시처럼 보이는 서식 파일에서 골라서 선택하기도 하지만, 온라인 서식 파일 검색창에 원하는 검색어로 원하는 서식 파일을 검색해서 선택해서 실행하기도 합니다.
엑셀 통합문서 저장하기
엑셀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엑셀 문서를 저장하는 방법은 새로운 문서에 데이터를 입력하고 저장할 때와 저장된 파일을 열어서 편집하고 저장할 때와 기존의
icedlatte.tistory.com
엑셀 2016 화면 구성 배우기
엑셀 기초 2016 화면 구성 배워보겠습니다. 엑셀 2016 화면 구성은 리본 메뉴와 워크시트, 상태 표시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고, 엑셀을 배우기 위한 기초를
icedlatte.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