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서치콘솔
본문 바로가기
정보/엑셀 배우기

엑셀 2016 화면 구성 배우기

by 지식버튼 2022. 3. 11.
반응형

 

엑셀 기초 2016 화면 구성 배워보겠습니다. 엑셀 2016 화면 구성은 리본 메뉴와 워크시트, 상태 표시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고, 엑셀을 배우기 위한 기초를 다지는 시간이기 때문에 내용을 보면서 엑셀에서 하나씩 눌러보면 습득이 빠를 겁니다.

 

엑셀-기본구성
엑셀 2016 기본구성 배우기

 

 

 

엑셀 2016 전체 화면 구성

 

엑셀을 시작해서 나오는 화면을 보면 상단의 리본 메뉴 부분이 나오고, 중간에 워크시트, 하단에 상태 표시줄로 화면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반응형

 

 

① 리본 메뉴, ② 워크시트, ③ 상태 표시줄로 나눠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엑셀-화면구성
엑셀 메인화면은 리본메뉴, 워크시트, 상태표시줄로 구성되어 있다.

 

 

 

엑셀 리본 메뉴 구성

 

리본 메뉴는 엑셀 작업에서 편집에 관련된 모든 메뉴를 모아놓은 곳입니다. 엑셀 화면의 상단에서 텍스트 형태의 메뉴와 그 메뉴를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아래에 펼쳐놓은 아이콘 형태의 메뉴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엑셀 리본 메뉴 설명

엑셀-리본-메뉴-구성
엑셀 리본 메뉴의 구성도

① 빠른 실행 도구 모음

   → 빠르게 실행하려고 하는 도구들을 모아서 사용할 수 있는 곳입니다. 자주 사용하는 것들을 추가해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② 제목 표시줄

   → 현재 작업 중인 파일의 이름이 표시되는 부분으로 이는 사용자가 해당 문서의 대표성을 생각하여 이름을 지정하도록 되어있습니다. 문서의 상태에 따라서 [읽기 전용], [호환 모드], [공유], [그룹] 등이 표시됩니다.

 

 

③ 오피스 로그인

   → 작업 후 파일을 온라인(OneDrive)에 저장하거나, 열기를 하고 공유를 할 수 있습니다. OneDrive를 이용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한 서비스입니다. 상기 이미지에는 오피스 로그인이 없습니다.

 

 

④ 리본 메뉴 표시 옵션

   → [리본 메뉴 자동 숨기기], [탭 표시], [탭 및 명령 표시]로 구분되어 있는데, 각각은 엑셀 화면 상단의 메뉴를 숨김 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해줄 목적으로 사용하게 됩니다.

 

 

⑤ 창조절 버튼

   → 엑셀 창을 닫거나 최소화, 최대화할 때 사용하는 버튼입니다.

 

 

⑥ 탭

   → 화면에서 텍스트로 [파일], [홈], [삽입], [페이지 레이아웃], [수식], [데이터], [검토], [보기]로 구성되어 있는데, 해당 탭을 누르면 아래에 아이콘 형태의 명령들이 펼쳐지게 되어있습니다. 비슷한 성질의 명령을 모아놓아서 작업의 효율을 높이도록 구성되어있습니다.

 

 

⑦ 파일 탭

   → 파일을 관리하는 메뉴를 모아놓은 곳으로 파일을 저장하거나, 인쇄를 하거나, 여러 가지 옵션을 설정하는 메뉴가 있는 곳입니다.

 

 

⑧ 텔미

   → 궁금하거나 원하는 작업을 입력하면 해당 내용에 대한 기능이나, [도움말] 등이 보이게 됩니다.

 

 

⑨ 공유

   → 온라인상에서 문서를 공유하거나, 공유할 다른 사용자를 추가하여 같이 공동으로 작업을 할 수도 있습니다.

 

 

⑩ 그룹

   → 각각의 탭에서 아이콘 형태의 리본 메뉴 하단에 위치해서 마우스로 클릭 시 추가적인 세부 기능이 펼쳐집니다.

 

 

⑪ 리본 메뉴 축소 버튼

   →리본 메뉴를 축소하는 버튼으로 상단의 메뉴탭만 남게 됩니다. 이 또한 작업공간의 확보를 위해서 필요한 버튼입니다.

 

 

 

엑셀 워크시트 구성

 

워크시트는 엑셀 작업을 위한 최소 단위들의 모임이 있는 작업 영역으로, 직사각형 모양의 셀들의 조합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반응형

 

 

엑셀 워크시트 설명

엑셀-워크시트-구성
엑셀 워크시트의 기본은 셀이다. 셀에 데이터를 입력하고 편집하기를 원활하게 하기위해서는 워크시트의 구성을 잘 이해해야 한다.

① 이름 상자

   →셀 주소와 함수 목록, 수식 등의 정보가 표시되는 곳입니다.

 

 

② 입력 취소

   → 입력한 데이터를 이전 상태로 되돌립니다. 실행 취소라고도 하는데 데이터를 입력 중에는 [ESC키]를 누르면 동일한 효과를 얻습니다.

 

 

③ 입력 확정

   → 데이터의 입력을 완료합니다. [Enter]를 누르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있습니다.

 

 

④ 함수 삽입

   →함수 삽입을 누르면 함수 마법사가 실행됩니다. 사용빈도가 높은 함수를 간단하게 꺼내서 작업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있습니다.

 

 

⑤ 수식 입력 줄

   → 이름은 수식 입력 줄이지만, 수식만을 입력하는 곳은 아니며, 텍스트와 숫자, 수식 등을 작성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때에 따라서 셀에서 직접 입력하고 수정도 하고 수식 입력 줄에서 입력과 수정을 하기도 합니다.

 

 

⑥ 수식 입력 줄 확장/축소

   →수식 입력 줄의 공간을 확장하거나 축소하는 버튼입니다. 입력된 수식과 데이터가 많은 경우에 유용합니다. 확장을 하지 않고 사용할 때 입력한 데이터가 다음 줄로 넘어가면 앞줄의 데이터를 확인할 수가 없는데, 이때 수식 입력 줄을 확장하면 데이터 입력 및 수정에 도움이 됩니다.

 

 

⑦ 셀 포인터

   →셀 포인터는 작업을 위해 선택한 셀이 다른 셀보다 진한 색의 테두리가 생기면서 셀이 선택되었음을 알려주는 것입니다.

 

 

⑧ 채우기 핸들

   → 선택된 셀 포인터의 오른쪽 하단에 검은색 점이 채우기 핸들입니다. 채우기 핸들은 더블클릭이나 드래그 등의 행동으로 연속적인 데이터를 입력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⑨ 열 머리글

   →셀 주소를 특정하기 위해서 필요한 열의 머리글은 열의 주소가 됩니다. 열의 개수는 A~XFD까지 16,384개가 있습니다.

 

 

⑩ 행 머리글

   →셀 주소를 특정하기 위해서 필요한 행의 머리글은 행의 주소가 됩니다. 행의 개수는 1행부터 시작해서 1,048,576개가 있습니다.

 

 

⑪ 셀

   → 데이터를 입력하고 편집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가 셀입니다. 셀의 이해가 엑셀의 기본을 다지는 것입니다. 셀은 열과 행의 머리글을 따서 주소를 결정하고 이 주소는 수식을 입력하는데 필요한 기본 요소가 됩니다.

 

 

⑫ 수직/수평이동 줄

   → 16,384개의 행과 1,048,576개의 열을 모두 한 화면에서 확인할 수가 없기 때문에 수직/ 수평이동 줄이 필요합니다. 수직과 수평으로 화면을 이동하는 데 사용합니다.

 

 

⑬ 시트 탭 이동 버튼

   →시트 탭이 너무 많아서 한화면에서 확인되지 않을 때 시트 탭 이동 버튼으로 보이지 않는 시트 탭을 찾을 때 사용합니다.

 

 

⑭ 시트 탭

   → 엑셀 통합 문서의 하단에 현재 문서에서 사용 중인 시트의 이름이 표시되는 곳입니다. 보통 시트의 이름을 결정하기 전에는 [Sheet1], [Sheet2]등의 이름으로 보입니다.

 

 

⑮ 워크시트 삽입 버튼

   → 새로운 시트를 생성할 때 사용되는 버튼입니다. 현재 시트가 한 개인 상태에서 [Sheet1]만 있다면 워크시트 삽입 버튼을 누르면 [Sheet2]가 바로 옆에 생성됩니다.

 

 

 

엑셀 상태 표시줄 구성

 

상태 표시줄은 현재의 작업상 태나 결과를 확인하거나, 작업환경을 바꿀 수 있습니다. 상태 표시줄을 잘 모르면 번거로워질 수 있는데, 해당 작업에 적합한 작업환경을 선택해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반응형

 

 

엑셀 상태 표시줄 설명

엑셀-상태표시줄-구성
엑셀 상태표시줄은 셀의 상태를 알려주고 간단한 결과값을 보여주고 페이지를 나눠서 보여주기도 한다.

① 셀 모드

   → 셀 모드는 현재 셀의 상태를 안내해주는데 빈 셀 포인터 상태에서는 준비, 데이터를 입력 중인 상태에서는 입력, 입력된 데이터를 편집할 때는 편집 등으로 표시됩니다.

 

 

② 표시 영역

   → 기능키의 상태를 알려주는데, 복사를 하기 위해서 단축키 [Ctrl+C]를 눌러서 복사하기를 선택하면 표시 영역에 "대상을 선택한 다음 <Enter> 키를 누르거나 [붙여 넣기]를 선택합니다." 하는 안내문구가 뜹니다. 그리고 숫자가 입력된 셀들을 복수로 선택하면 계산 결과 "평균과 개수, 합계"가 표시됩니다.

 

 

③ 보기 바로가기

   → 워드나 파워포인트는 한 페이지가 명확하게 보이지만, 엑셀은 어디까지가 한 페이지인지 구분하기가 어렵습니다. 이때 페이지의 경계를 확인하면서 작업할 수 있는 것이 보기 바로가기입니다. 기본, 페이지 레이아웃, 페이지 나누기 등으로 구분되며 아무것도 하지 않은 현재가 기본인 상태이고 페이지 레이아웃은 페이지를 완전히 구분해서 벌려놓은 상태이고, 페이지 나누기는 임의의 파란 색선으로 구분 지어놓은 상태를 말합니다.

 

 

④ 확대/축소 슬라이드

   → 확대/축소 슬라이드는 워크시트의 화면을 확대하거나 축소할 때 사용하며, '+'와 '-'를 누를 때마다 10%씩 증감합니다. 슬라이드 조절 바를 마우스로 드래그해서 확대/축소할 수도 있습니다.

 

 

⑤ 확대/축소비율

   → 확대/축소 슬라이드를 움직이는 만큼 확대/축소비율이 표시되며, 비율을 직접 클릭하여 배율을 선택하거나, 사용자 지정을 이용해서 비율을 입력하여 확대/축소할 수도 있습니다.

 

 

엑셀 2016 시작하기

 

 

엑셀 2016 시작하기

엑셀 2016 시작하기 알려드리겠습니다. 엑셀을 시작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우선 엑셀을 처음 시작하는 것이라면 엑셀 실행파일로 시작을 하고, 문서를 작성해서 저장했다면 기존 문서를 찾아서

icedlatte.tistory.com

 

엑셀 틀 고정 배우기

 

엑셀 틀 고정 배우기

엑셀 틀 고정하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틀 고정은 말 그대로 원하는 지점을 고정시켜놓아서 엑셀 워크시트 작업 시 계속 보이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작업하는 문서의 양이 방대해질

icedlatte.tistory.com

 

반응형

댓글


애드디스코드